냐울당 햄버거 메뉴
반응형

안녕하세요. 플입니다.

오늘은 border-style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.

 


border

 

보더는 테두리를 말합니다.

css에서 border 값을 설정하면 테두리 디자인을 할 수 있습니다.

오늘은 그중 style에만 중점을 두고 살펴보겠습니다.

 


1. dotted

 

도티드점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테두리가 점선으로 처리됩니다.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dotted; } 

 

 


2. dashed

 

대쉬드짧은 선이 연속으로 나옵니다.

점선과 비슷하지만 점보다는 조금 긴 모양이죠.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dashed; } 

 


3. solid

솔리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로

타입입니다. 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solid; } 

 


3. double

더블두줄이 나옵니다.

주의할 점은 두줄이기 때문에 보더의 사이즈가 1px이면 두줄이 나오지 않습니다.

적어도 3px 이상일 때만 두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double; } 

 


4. groove

그로브는 선에 살짝 음영이 들어갑니다.

리듬이라는 뜻으로 살짝 리듬감을 주는 느낌인 것 같은데 많이 사용하지는 않습니다.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groove; } 

 


5. ridge

릿지그로브보다 조금 진하게 표시됩니다.

산등성이라는 뜻으로 약간 튀어나온 느낌을 주는 것 같은데 그로브와 거의 비슷해서 많이 사용하지는 않습니다.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ridge; } 

 


6. inset

인셋안으로 들어간 음영을 줍니다.

왼쪽과 위를 진한 색으로 표시해서 음각으로 보이게 해 줍니다.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inset; } 


7. outset

아웃셋은 인셋과 반대로 튀어나온 음영을 줍니다.

아래와 오른쪽을 진한 색으로 표시해서 양각으로 보이게 해 줍니다.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outset; } 

 


8. none

(검은 테두리는 이미지가 보이지 않아 표시하기 위해 넣은 것으로 코드와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.)

 

보더가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.

특정 조건일 때 보더를 없애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 기본 디폴드 값은 논입니다.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none; } 

 


9. hidden

(검은 테두리는 이미지가 보이지 않아 표시하기 위해 넣은 것으로 코드와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.)

 

히든보더가 보이지 않는 상태입니다.

있지만 가려져있는 상태죠. 논과 거의 비슷한 효과라 둘 중 어느 걸 사용해도 상관없습니다.

 

<코드>

 p{ border-style: hidden; } 

 


 

9가지 border-style을 알아봤습니다.

 

그럼 이만.

총총.

반응형

'coding > html +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sass/scss] 자동 컴파일하기  (0) 2019.09.25
[html] <span>  (0) 2019.09.24
[html] <img>태그 alt 속성  (0) 2019.09.18
[css] hover로 색 바꾸기  (0) 2019.09.06
[html] nav태그  (0) 2019.08.28
댓글

냐울님의
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!

위쪽 화살표
도움이 되었다면 공감(하트)과 댓글을 부탁드려요.